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시각 디자인 종류와 그래픽 분야에 대한 이해

by 제로마치 2023. 4. 17.

 

시대가 빠르게 변하는 만큼 디자인 분야도 그 흐름을 거스를 수 없습니다. 디자인 양식뿐 아니라 일의 범주나 방법에도 많은 변화가 반영됩니다. 새로운 분야가 생기는가 하면 사라지기도 합니다.

 

최근에 가장 뜨거운 분야로는 UX 디자인을 꼽습니다. 아이폰의 탄생 전에 UX 디자이너는 대게 홈페이지를 디자인하는 웹 디자이너였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지금은 홈페이지 보다는 애플리케이션 디자이너에 가깝습니다.

로고 디자인은 수천년 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브랜딩 디자인이 시작된 것은 반세기가 안되었습니다. 이처럼 시대별로 디자이너의 모습도 달라지고 있습니다. 

현재의 흐름에서 디자인 분야를 어떻게 나눌 수 있는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시각 디자인 분야 알아보기

시각 디자인은 워낙 광범위하고 다양해서 어떻게 분류해야 할지 막연합니다. 어떻게 카테고리를 나누느냐에 따라 다양한 범주고 구분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총 7가지(타이포그래피, 편집 디자인, 폰트/레터링 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브랜딩 디자인, 패키지 디자인, UX 디자인)로 분류해보고 간단한 특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패키지 디자인

 

타이포그래피

타이포그래피는 글자를 어떻게 면 위에 배치할지를 다루는 분야입니다. 시각 디자인을 하기 위한 필수이자 기초가 되는 분야입니다.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시각 디자인에는 글자가 들어가기 때문에 디자이너에게는 매우 중요한 분야입니다.  

 

편집 디자인

편집디자인은 사진, 글자, 그래프 등을 디자이너가 본인의 콘셉트와 시각으로 해석하여 배치하는 분야입니다. 대표적으로 포스터, 책자, 리플릿 같은 인쇄물을 디자인합니다. 편집 디자인은 기본적으로 타이포그래피와 시각물의 배치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더불어 종이 및 인쇄 기법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합니다.  

 

폰트/레터링 디자인

폰트 디자인과 레터링 디자인은 글꼴을 형태를 다루는 분야입니다. 글자의 발명과 함께 형태에 대한 고민은 시작되었습니다. 그만큼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글자 모양만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이미지는 강력합니다. 그래서 디자인의 꽃이라고도 여겨집니다. 폰트 디자인과 레터링 디자인은 조금 다릅니다. 폰트는 활자를 개발하여 타이핑을 하면 글자가 입력되는 방식입니다. 레터링은 정해진 문구만을 특색 있게 디자인하는 방식입니다.

 

일러스트레이션

일러스트레이션은 그림입니다. 다만 회화와 다른 점은 어딘가에 쓰이기 위해 만들어진다는 것입니다. 책 표지에 쓰이거나 포스터, 삽화, 게임,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 쓰입니다. 그만큼 일러스트레이션 내의 분야도 다양하게 세분화됩니다. 굉장히 광범위한 분야와 스타일이 있어서 각자 쓰이는 표현 기법이나 기술도 천차만별입니다.   

 

브랜딩 디자인

브랜딩 디자인은 어떤 제품의 서비스나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한 것입니다. 사람들이 브랜드를 인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모든 요소들을 디자인합니다. 로고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색상, 패턴, 패키지, 광고, 매장 인테리어,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음악 등 브랜드 고유의 이미지를 생산하는 모든 것을 통일성 있게 혹은 맥락 있게 풀어나가는 분야입니다. 과거에는 로고디자인이 중요했지만 요즘은 브랜드 이미지를 사용자가 경험하도록 하는 모든 것을 디자인하기 때문에 BX(Brand eXperience) 디자인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패키지 디자인

패키지 디자인은 제품의 용기 및 포장 등을 디자인하는 분야입니다. 패키지 디자인이 구매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화장품 사업군 같은 경우는 사실상 패키지 디자이너가 브랜딩 디자이너가 되기도 합니다.

패키지 상자의 구조를 '지기 구조'라고 합니다. 패키지 디자이너는 포장 겉면의 평면뿐 아니라 이 지기 구조를 잘 짜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입체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UX 디자인

UX디자인은 User Experience 디자인의 약자로 사용자경험을 디자인하는 분야입니다. 통상적으로 UX디자인이라고 하면 사용자가 전자 기기를 동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뜻하며 좀 더 좁게는 웹이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을 뜻합니다. UX디자이너는 어느 정도의 개발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UX/UI 디자인

 

위의 7가지 외에도 디자인에는 굉장히 많은 분야가 있고 지금도 새로운 영역이 생겨나고 없어집니다. 기본적인 조형 원리나 감각을 튼튼하게 훈련한다면 어느 분야에서든 실력 발휘를 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클래스 101에서 들었던 서희강 디자이너님의 강의에서 나왔던 내용을 바탕으로 시각 디자인을 분류해 보았습니다.

댓글